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국내외 주요 DBMS 종류와 특징 총정리: Oracle, PostgreSQL, MongoDB, Redis 등 10가지 DBMS 비교

by silmulog 2025. 6. 27.

DBMS 이미지
DBMS

업무 중 개발팀과의 협업이 잦아지면서 “오라클(Oracle)”, “알티베이스(Altibase)”, “몽고디비(MongoDB)”와 같은 데이터베이스(DB)의 솔루션 명칭을 직접 언급하는 상황을 자주 마주하게 됩니다. 사실 익숙하게 DB라고 표현하지만 이러한 것들을 정확히 지칭하는 것은 DBMS, 즉,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이 더 적합한 것 같습니다. 이러한 용어나 정의가 익숙하지 않은 사람에게는 이러한 용어들이 다소 생소하고, 각기 다른 솔루션이 어떤 구조와 기능을 지니고 있는지 파악하는 데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특히 실무에서는 단순히 ‘데이터베이스’라는 개념을 넘어, 어떤 기업의 솔루션을 사용하고 있는지, 그 솔루션의 장점과 단점은 무엇인지에 대한 이해가 요구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대표적인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이란 무엇인지부터 시작해, 각 솔루션의 특성과 제공 기업에 대해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데이터베이스(Database)와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란 무엇인가?

데이터베이스(Database)란 정보를 구조적으로 저장해두는 공간을 말합니다. 우리가 일상에서 사용하는 앱이나 웹사이트는 모두 사용자 정보, 상품 목록, 주문 내역 등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이 필요하며, 이를 체계적으로 정리해둔 것이 바로 데이터베이스입니다. 단순히 데이터를 나열해 놓는 것이 아니라, 검색하기 쉽고, 수정하거나 삭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야 실무에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쇼핑몰의 회원 정보나 주문 기록은 모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빠르게 조회되고 관리됩니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를 운영하고 관리하는 소프트웨어가 바로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DBMS, Database Management System)입니다. DBMS는 데이터를 안전하게 저장하고, 동시에 여러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도록 하며, 백업, 복구, 보안, 성능 관리 등의 기능도 함께 제공합니다. 대표적인 DBMS로는 Oracle, MySQL, PostgreSQL, MongoDB 등이 있으며, 각각 기능과 구조가 달라 사용 목적에 따라 적절한 선택이 필요합니다. 즉, 데이터베이스는 '정보가 들어 있는 그릇'이고, DBMS는 그 그릇을 잘 관리하고 운영하는 '도구'라고 이해하면 쉽습니다.

 

 

주요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 소개 및 분석

 

01.Oracle DB- 글로벌 기업이 선택한 엔터프라이즈 DBMS

1. Oracle Database란 무엇인가

Oracle Database(오라클 DB)는 미국의 오라클(Oracle Corporation)에서 개발한 상용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입니다. 1979년, ‘Relational Software Inc.’라는 이름으로 처음 출시되었으며, 세계 최초의 상용 RDBMS라는 타이틀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후 회사 이름을 Oracle로 변경하며 꾸준히 기술력을 축적해왔고, 1980~1990년대를 거치며 글로벌 엔터프라이즈 시장에서 강력한 입지를 다지게 됩니다.

특히 안정성과 확장성, 복잡한 트랜잭션 처리 능력, 고급 보안 기능 등을 통해 금융, 제조, 공공기관, 대기업 등 중요한 데이터를 다루는 조직에서 널리 사용되어 왔습니다. 현재까지도 많은 글로벌 기업이 Oracle DB를 핵심 시스템의 기반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최신 버전인 Oracle Database 23c에서는 JSON, 블록체인, AI 기반 자동화 기능까지 포함되어 데이터베이스 플랫폼으로서의 기능을 더욱 확장하고 있습니다.

 

2. Oracle Database 아키텍처 개요

Oracle Database는 복잡하고 방대한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매우 체계적으로 설계되어 있습니다. 이를 이해하기 위해 먼저 Oracle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를 살펴보면 도움이 됩니다. 오라클 데이터베이스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바로 인스턴스(Instance)와 데이터베이스(Database)입니다


인스턴스는 Oracle이 작동하면서 메모리와 여러 프로그램(백그라운드 프로세스)을 이용해 실제로 데이터를 읽고 쓰는 ‘실행 엔진’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이 엔진은 데이터를 빠르게 처리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다양한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합니다. 예를 들어, 자주 조회되는 데이터를 미리 기억해두거나, 여러 사용자 요청을 동시에 처리하는 등의 역할을 합니다.
반면, 데이터베이스는 우리가 관리하려는 정보(예: 고객 정보, 거래 기록 등)가 실제로 저장되어 있는 ‘파일 저장 공간’입니다. 하드디스크에 있는 데이터 파일, 로그 파일, 제어 파일 등이 여기에 포함되며, 우리가 말하는 “데이터”는 이 영역에 존재합니다.

 

이 두 가지가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Oracle은 하나의 데이터 저장소에 여러 개의 인스턴스가 동시에 접근하는 구조를 만들 수 있습니다. 이 기능을 RAC(Real Application Clusters)라고 부르며, 서버에 문제가 생겨도 다른 인스턴스가 작업을 이어받을 수 있어, 안정성과 확장성이 크게 높아집니다.

Oracle은 이 외에도 다양한 성능 최적화 기능을 갖추고 있습니다.

  • Redo/Undo 로그는 사용자가 데이터를 수정했을 때 그 이력을 남겨두는 기능으로, 문제가 생기면 원래대로 되돌리거나 복구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 SGA/PGA는 일종의 메모리 공간으로, 자주 쓰이는 정보를 미리 기억하거나 쿼리를 빠르게 처리하는 데 활용됩니다.
  • ASM(Automatic Storage Management)은 여러 저장장치를 자동으로 잘 묶어주는 역할을 해, 데이터 읽기/쓰기 속도를 높여줍니다.
  • Multitenant 구조는 하나의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안에 여러 개의 작은 데이터베이스(플러거블 DB)를 만들 수 있도록 해, 클라우드나 대규모 시스템에서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해줍니다.

3. Oracle DB의 장점

1)탁월한 안정성과 고가용성

오라클은 미션 크리티컬한 시스템을 위해 설계되어, 장애 발생 시에도 빠르게 복구할 수 있는 고급 복제 및 백업 기능을 제공합니다. RAC, Data Guard, Flashback 등의 기능은 고가용성을 보장합니다.

2)확장성과 성능

초대규모 데이터를 다루는 환경에서도 수평·수직 확장이 모두 가능하며, 병렬 처리, 인덱스 최적화, 쿼리 튜닝 기능이 뛰어납니다.

3)보안 기능

DB 내장 암호화, 역할 기반 접근 제어, 감사 기능 등 보안 요구가 높은 환경에서 필요한 기능을 기본 제공합니다.

4)강력한 기능의 툴과 생태계

SQL Developer, Oracle Enterprise Manager, APEX 등 다양한 개발·운영 도구를 공식적으로 제공하며, 오라클 클라우드와의 연계도 매끄럽습니다.

5)긴 역사와 폭넓은 레퍼런스

수십 년간 다양한 산업군에 걸쳐 축적된 도입 사례와 노하우가 있으며, 복잡한 비즈니스 로직에 대한 지원도 안정적입니다.

 

4. Oracle DB의 단점

1)높은 라이선스 비용

상용 제품인 만큼 설치 및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 부담이 크며, 코어 수에 따라 라이선스가 적용되어 대규모 시스템에서는 비용이 급증할 수 있습니다.

2)운영 복잡도

기능이 많은 만큼 학습 난이도가 높고, 전문가의 운영과 튜닝이 필요한 경우가 많습니다.

3)벤더 종속성(Vendor Lock-in)

오라클에 특화된 SQL이나 PL/SQL 문법으로 작성된 시스템은 다른 DB로 이관이 어렵고, 마이그레이션 비용이 많이 발생합니다.

 

5. Oracle DB 도입이 적합한 경우

Oracle Database는 어떤 환경에서 사용하면 좋을까요? 우선, 보안성과 안정성이 특히 중요한 금융, 보험, 공공기관 같은 분야에서 적합합니다. 예를 들어 은행의 계좌 관리 시스템이나 정부의 주민등록 정보 시스템처럼, 한순간의 오류도 허용되지 않는 중요한 데이터를 다루는 곳에서는 Oracle의 고가용성과 복구 기능이 큰 장점이 됩니다.

또한, 복잡한 업무 흐름을 가진 대기업 시스템, 특히 ERP(전사적 자원관리)나 CRM(고객 관계 관리) 시스템에도 Oracle이 잘 어울립니다. 예를 들어 SAP, Oracle E-Business Suite 같은 복잡한 시스템은 Oracle DB와의 연동이 자연스럽고 안정적으로 이뤄지기 때문에, 기업 내 다양한 부서와 기능을 통합하는 데에 도움이 됩니다.

규제가 많은 산업군에서도 Oracle은 강점을 보입니다. 감사 로그, 권한 설정, 자동 백업 같은 기능이 체계적으로 잘 갖춰져 있어, 보안이나 법적 기준을 충족해야 하는 기업에게 안성맞춤입니다.

마지막으로, 수많은 사용자가 동시에 접속해 데이터를 주고받는 대규모 온라인 서비스 환경에서도 Oracle은 뛰어난 성능을 발휘합니다. 예를 들어 대형 쇼핑몰, 포털 사이트, 결제 시스템처럼 트래픽이 많고 빠른 응답이 중요한 곳에서는 Oracle의 고성능 트랜잭션 처리 능력이 큰 도움이 됩니다. 쉽게 말해, 많은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빠르게 다뤄야 하는 상황이라면 Oracle DB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02. Microsoft SQL Server – Windows에 최적화된 관계형 DBMS 

1. Microsoft SQL Server란 무엇인가

Microsoft SQL Server는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에서 개발한 상용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입니다. 1989년에 처음 출시되었으며, Windows 운영체제에 최적화된 데이터베이스로 시작해 지금은 클라우드 환경(Azure)까지 지원하는 범용 데이터 플랫폼으로 발전했습니다.

SQL Server는 특히 기업 내부 시스템에서 많이 사용되며, 안정성 있는 데이터 처리와 편리한 관리 도구, Microsoft Office 제품군과의 뛰어난 연동성 덕분에 중소기업부터 대기업까지 폭넓게 채택되고 있습니다. 초기에는 Windows 전용이었지만, 현재는 Linux 환경과 클라우드까지 확장되어 유연한 사용이 가능해졌습니다. 또한 SQL Server Management Studio(SSMS)와 같은 시각화된 관리 도구 덕분에 비전문가도 쉽게 접근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입문용 RDBMS로도 인기가 높습니다.

 

2. Microsoft SQL Server 아키텍처 개요

SQL Server는 기본적으로 데이터베이스(Database)와 이를 제어하고 운영하는 인스턴스(Instance)로 구성됩니다.

인스턴스는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실행 단위로, 메모리와 다양한 백그라운드 프로세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사용자가 데이터를 조회하거나 수정하려고 요청하면, 인스턴스가 이를 해석하고 처리합니다. 이 인스턴스는 메모리 공간을 활용해 쿼리를 빠르게 처리하고, 필요한 데이터를 캐싱해 시스템 성능을 높여줍니다.

데이터베이스는 사용자의 실제 데이터가 저장되는 공간입니다. 내부적으로는 데이터 파일, 로그 파일, 메타데이터 등을 포함하며, 파일 기반 구조로 작동합니다. 이러한 구성은 Oracle과 유사하지만, SQL Server는 Windows 파일 시스템과 밀접하게 통합되어 있어 관리가 비교적 단순합니다.

또한 SQL Server는 TempDB라는 임시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중간 연산 결과를 저장하거나 세션 간 공유 데이터를 처리하고, Transaction Log를 이용해 데이터 변경 사항을 기록하여 장애 발생 시 손쉽게 복구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복제(Replication), 장애 복구(Mirroring, Always On), 보안, 백업 등 다양한 기능이 내장되어 있어 고성능 데이터베이스 운영이 가능합니다.

 

3. SQL Server의 장점

1) Windows 환경과의 뛰어난 통합성

Microsoft 제품군과의 호환성이 매우 우수합니다. Excel, Power BI, .NET, Active Directory 등과 쉽게 연동할 수 있어 기존 Microsoft 기반 인프라를 가진 기업에는 최적입니다.

 

2) 쉬운 설치와 관리

SQL Server는 설치 마법사와 GUI 기반의 관리 도구(SSMS)를 제공해 초보자도 비교적 쉽게 설치하고 운영할 수 있습니다. SQL Server Agent를 통한 작업 스케줄링도 직관적입니다.

 

3) 고급 기능의 무상 제공

Express, Standard, Enterprise 에디션에 따라 일부 기능 차이는 있지만, 기본적인 BI 기능, 보안 설정, 자동 백업 기능 등은 비교적 폭넓게 제공됩니다.

 

4) 클라우드 및 하이브리드 연계

Microsoft Azure와의 통합이 뛰어나, 온프레미스와 클라우드 간 데이터 이전이나 동기화가 원활합니다. Azure SQL Database, Managed Instance 등 다양한 옵션도 선택 가능합니다.

 

4. SQL Server의 단점

1) 운영체제 종속성

과거에는 Windows 환경에서만 작동해 플랫폼 선택이 제한됐으며, 최근 들어 Linux도 지원하지만 여전히 Windows 중심의 기능 설계가 많습니다.

 

2) 버전·라이선스 구조가 복잡

에디션에 따라 기능 차이가 많고, 서버당/코어당 라이선스 정책이 있어 비용 예측이 어렵고, 장기적인 운영 전략 없이 도입하면 낭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3) 대규모 트래픽 환경에서의 한계

기본 성능은 우수하지만 초대형 트랜잭션 처리나 수천 명 이상의 동시 접속이 필요한 시스템에서는 Oracle이나 전문 DW보다 한계가 있을 수 있습니다.

 

5. SQL Server 도입이 적합한 경우

SQL Server는 다음과 같은 환경에서 도입하면 효과적입니다.

먼저, Windows 기반의 인프라를 이미 사용하고 있는 기업에게 매우 유리합니다. Active Directory, Windows Server, Office 제품 등을 함께 사용하고 있다면 SQL Server는 그 흐름 속에서 자연스럽게 연결됩니다.

또한 중소~중견 기업의 내부 시스템, 예를 들어 회계, 인사, 재고 관리 시스템 등 다양한 사내 업무 솔루션과 ERP 시스템에 적합합니다. 관리가 쉽고 비용 대비 기능도 우수하기 때문입니다.

BI(비즈니스 인텔리전스)나 데이터 분석 환경에서도 강점을 가집니다. SQL Server에는 리포트 작성, 데이터 통합, 큐브 분석 등을 위한 SSIS, SSAS, SSRS 도구가 포함되어 있어 추가 솔루션 없이도 통합 분석 환경을 만들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클라우드 전환을 염두에 둔 기업에게도 적합합니다. SQL Server는 Microsoft Azure와 연계가 잘 되어 있어, 기존 시스템을 클라우드로 손쉽게 이전하거나 하이브리드 구조로 운영할 수 있습니다.

 

03. IBM Db2 – 금융 산업을 위한 신뢰성 높은 솔루션

1. IBM Db2란 무엇인가

IBM Db2는 미국의 IT 기업 IBM이 개발한 상용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입니다. 1983년에 처음 출시되어, 오랜 시간 동안 대형 금융기관, 공공기관, 글로벌 기업 등에서 핵심 데이터 시스템으로 사용돼 왔습니다. 오라클과 마찬가지로 기업 시장을 중심으로 확고한 입지를 쌓아왔으며, 특히 안정성과 신뢰성, 그리고 대용량 트랜잭션 처리 능력에서 강점을 보이는 솔루션입니다.

Db2는 관계형 데이터뿐 아니라 JSON, XML, 그래프 데이터 등 다양한 형식의 데이터를 다룰 수 있는 하이브리드 DB로 발전하고 있으며, 클라우드, 머신러닝, AI 기반 자동화 기능까지 지원하면서 최신 기술 흐름에도 발맞추고 있습니다. 오랜 역사와 IBM이라는 안정된 기술 기반 덕분에 아직도 많은 기업이 Db2를 핵심 업무에 사용하고 있습니다.

 

2. IBM Db2 아키텍처 개요

Db2는 인스턴스(Instance)와 데이터베이스(Database)라는 두 요소를 기반으로 작동합니다.

인스턴스는 메모리와 여러 개의 백그라운드 프로세스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보낸 데이터 처리 요청을 실제로 실행하는 '두뇌' 같은 역할을 합니다. 데이터를 어떻게 읽고 쓸지, 쿼리를 어떻게 처리할지 결정하는 부분입니다.

데이터베이스는 실제 데이터가 저장되는 공간으로, 고객 정보, 거래 내역 같은 데이터가 파일 형태로 디스크에 저장됩니다. 이 저장소에는 데이터 파일 외에도 로그 파일, 구성 정보, 보안 정보 등이 함께 포함되어 있어 안정적인 운영을 지원합니다.

Db2는 특히 트랜잭션 처리와 복구 기능이 잘 갖춰져 있습니다. 로그 관리 기능을 통해 데이터 변경 이력을 자동으로 기록하고, 문제가 생겼을 때 손쉽게 복구할 수 있습니다. 또한 IBM의 BLU Acceleration이라는 기술을 통해, 메모리 기반의 고속 분석도 지원합니다. 최근에는 Db2 Warehouse라는 클라우드 기반 버전도 출시되어, 확장성과 성능을 모두 갖춘 아키텍처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3. Db2의 장점

1) 검증된 안정성과 신뢰성

40년 가까운 역사와 함께, 특히 금융·통신 업계에서 오랜 기간 검증된 DBMS입니다. 트랜잭션 처리와 장애 복구 능력이 매우 뛰어납니다.

2) 복잡한 데이터 유형 처리 가능

기본적인 관계형 데이터 외에도 JSON, XML, 그래프 구조 등 다양한 형식의 데이터를 지원해, 최신 데이터 환경에도 잘 어울립니다.

3) AI 기반 자동화 기능

IBM의 AI 기술이 반영된 자동 튜닝, 자가진단 기능 등을 통해 운영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관리자 부담을 줄여줍니다.

4) 하이브리드·클라우드 지원

온프레미스뿐 아니라 클라우드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유연한 구조를 제공하며, IBM Cloud, AWS, Azure 등 다양한 플랫폼과 연동됩니다.

 

4. Db2의 단점

1) 비용 부담

상용 제품인 만큼 라이선스와 유지보수 비용이 적지 않으며, 기능에 따라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학습 난이도

기능이 많은 만큼 처음 사용하는 사람에게는 구조가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으며, 운영에는 어느 정도의 경험이 요구됩니다.

3) 시장 점유율 감소 추세

클라우드 중심의 신흥 솔루션이 증가하면서 과거에 비해 시장 내 점유율이 다소 낮아졌으며, 관련 커뮤니티나 정보 접근성은 상대적으로 제한적입니다.

 

5. Db2 도입이 적합한 경우

IBM Db2는 특히 안정성과 보안이 중요한 환경에서 강한 경쟁력을 발휘합니다. 예를 들어 금융, 보험, 통신사, 공공기관 등에서 거래 데이터, 사용자 정보, 시스템 로그 등을 장기간 안전하게 관리해야 할 때 Db2는 신뢰할 수 있는 선택입니다.

또한, 복잡한 데이터 구조를 다뤄야 하거나, 관계형과 비관계형 데이터를 함께 처리해야 하는 업무 환경에서도 적합합니다. 예를 들어 한 시스템에서 JSON과 SQL 데이터를 모두 다뤄야 할 때 Db2는 따로 시스템을 분리하지 않고도 통합 운영이 가능합니다.

데이터 분석이나 AI 기반 자동화가 필요한 기업에게도 잘 맞습니다. Db2는 IBM Watson, SPSS 등 다양한 분석 도구와도 자연스럽게 연결되며, 자체적으로도 자동 튜닝과 자가 진단 기능을 제공합니다.

마지막으로, 이미 IBM 시스템(예: 메인프레임, WebSphere, Power Systems 등)을 사용하는 기업이라면 Db2는 가장 자연스럽고 효율적인 선택일 수 있습니다. 내부 시스템 간의 통합성과 최적화된 연동 환경 덕분에 운영 편의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04. MySQL – 가장 대중적인 오픈소스 DBMS

1. MySQL이란 무엇인가

MySQL은 전 세계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오픈소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 중 하나입니다. 1995년 스웨덴의 MySQL AB라는 회사에서 처음 개발되었고, 이후 2008년에는 Sun Microsystems에 인수되었으며, 지금은 Oracle Corporation이 그 권리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MySQL은 웹 개발자와 스타트업, 중소기업에서 특히 인기가 높습니다. 가볍고 설치가 간단하며, 비용 부담 없이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장점입니다. 또한 대부분의 프로그래밍 언어와 잘 연동되고, Linux, Windows, macOS 등 다양한 운영체제에서도 쉽게 사용할 수 있어 웹사이트나 온라인 서비스에서 표준처럼 활용되고 있습니다.

현재는 커뮤니티 버전과 Oracle에서 제공하는 엔터프라이즈 버전이 존재하며, 클라우드에서도 Amazon RDS, Google Cloud SQL 등 다양한 플랫폼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2. MySQL 아키텍처 개요

MySQL의 아키텍처는 전체적으로 심플하면서도 유연하게 설계되어 있어, 입문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MySQL은 클라이언트-서버 구조로 동작합니다. 사용자가 SQL 쿼리를 입력하면, MySQL 서버가 이를 받아서 처리하고 결과를 다시 사용자에게 돌려주는 방식입니다. 이 과정에서 다양한 내부 구성요소들이 역할을 분담하게 됩니다.

가장 핵심적인 구성 요소는 스토리지 엔진(Storage Engine)입니다. MySQL은 하나의 DBMS 안에서 여러 가지 저장 방식(엔진)을 선택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는데, 그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이 InnoDB입니다. InnoDB는 트랜잭션 처리, 외래키 제약조건, 충돌 방지 등을 지원해 실무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그 외에도 쿼리를 분석하고 최적화하는 SQL 파서(Parser), 사용자의 인증과 권한을 관리하는 보안 모듈, 데이터를 메모리에 임시 저장해 성능을 높이는 쿼리 캐시 등 다양한 구성요소가 함께 작동합니다. 이러한 구조 덕분에 MySQL은 상대적으로 가볍고 빠르며, 단순한 프로젝트부터 복잡한 웹서비스까지 유연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3. MySQL의 장점

1)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오픈소스

MySQL은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커뮤니티 버전을 제공하며, 비영리 프로젝트나 스타트업에게 큰 장점이 됩니다.

2) 가볍고 빠른 성능

복잡한 설정 없이도 빠르게 설치하고 사용할 수 있으며, 소규모부터 중규모까지의 데이터 처리를 빠르게 지원합니다.

3) 광범위한 호환성

PHP, Python, Java 등 주요 개발 언어와 연동이 잘 되고, 다양한 운영체제에서 무리 없이 작동합니다.

4) 활발한 커뮤니티와 방대한 문서

오픈소스답게 사용자 커뮤니티가 매우 크며, 문제 해결을 위한 정보나 튜토리얼이 풍부하게 존재합니다.

5) 다양한 스토리지 엔진 지원

InnoDB, MyISAM 등 필요에 따라 저장 방식(엔진)을 선택할 수 있어 유연한 운영이 가능합니다.

 

4. MySQL의 단점

1) 엔터프라이즈 기능의 제한

고급 보안 기능, 고가용성(HA), 고급 백업 기능 등은 Oracle의 유료 엔터프라이즈 버전에 포함되어 있어 커뮤니티 버전에서는 활용이 제한됩니다.

2) 트랜잭션 처리 성능은 제한적

기본적으로는 충분하지만, 초대형 트랜잭션이나 수많은 동시 접속이 필요한 경우에는 Oracle, PostgreSQL 같은 다른 DBMS보다 성능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3) 복잡한 데이터 모델링에 한계

정교한 데이터 제약조건이나 복잡한 관계를 다루기엔 기능이 다소 단순하며, 설계 상의 제약이 있습니다.

 

5. MySQL 도입이 적합한 경우

MySQL은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매우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우선 소규모부터 중간 규모의 웹사이트, 쇼핑몰, 모바일 앱 백엔드 같은 온라인 서비스에 매우 적합합니다. 워드프레스, 마젠토, 위키미디어 등 유명한 오픈소스 시스템들도 대부분 MySQL을 기반으로 작동합니다.

스타트업이나 빠른 MVP 개발이 필요한 팀에게도 좋습니다. 설치가 간단하고 무료로 사용할 수 있으며, 서버 자원도 적게 사용하기 때문에 초기 서비스 개발에 적합합니다.

또한, 비용에 민감한 프로젝트나 단순한 데이터 구조를 가진 시스템에서도 효율적으로 사용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사내 게시판, 간단한 설문 시스템, 업무용 데이터 저장소 등에도 충분히 활용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클라우드 환경에서 손쉽게 운영하고 싶은 경우에도 유리합니다. AWS, Azure, GCP 등 주요 클라우드 서비스는 MySQL을 기본 지원하며, 별도 설치 없이 빠르게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운영할 수 있습니다

 

05. MariaDB – 자유로운 라이선스를 갖춘 MySQL의 분기

1. MariaDB란 무엇인가

MariaDB는 MySQL에서 갈라져 나온 오픈소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입니다. 원래 MySQL을 개발했던 창업자 몬티 위도니어스(Monty Widenius)가 Oracle이 MySQL을 인수한 이후, 오픈소스 정신을 지키기 위해 새롭게 개발한 프로젝트가 바로 MariaDB입니다. 이름은 몬티의 딸 ‘Maria’에서 따온 것으로, MySQL의 기술적 기반을 그대로 가져왔으며, 대부분의 기능과 명령어가 MySQL과 호환됩니다.

MariaDB는 MySQL과 유사하지만, 독립적으로 발전하고 있어 더 빠른 속도, 더 강력한 기능, 기업 친화적인 라이선스 정책 등을 내세우고 있습니다. 특히 Amazon, Google, IBM, Red Hat 등 글로벌 IT 기업들이 후원하고 있어 안정적인 커뮤니티와 장기적인 유지보수가 보장된다는 점에서 많은 기업들이 MySQL 대신 MariaDB를 선택하고 있습니다.

 

2. MariaDB 아키텍처 개요

MariaDB는 클라이언트-서버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반적인 아키텍처는 MySQL과 매우 유사합니다. 사용자가 SQL 쿼리를 보내면, MariaDB 서버가 이를 해석하고, 내부 엔진이 데이터를 처리해 결과를 반환하는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MariaDB의 가장 큰 특징은 다양한 스토리지 엔진(Storage Engine)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대표적인 스토리지 엔진인 InnoDB는 트랜잭션 처리와 외래키 제약조건, 동시성 제어 등 실무에 필요한 기능을 기본으로 제공합니다. MariaDB는 자체적으로 개발한 Aria 엔진과 분석용으로 설계된 ColumnStore, 분산 처리 기반의 Spider 엔진 등을 추가로 지원하여 복잡한 데이터 요구에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또한, MariaDB는 쿼리 최적화 엔진, 접속자 인증 모듈, 보안 설정, 로그 관리 시스템 등 다양한 컴포넌트를 갖추고 있어 확장성과 성능을 동시에 고려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3. MariaDB의 장점

1) MySQL과 높은 호환성

기존에 MySQL을 사용하고 있었다면 MariaDB로의 전환이 매우 간편하며, SQL 문법과 인터페이스가 거의 동일해 추가 학습 부담이 적습니다.

2) 오픈소스 기반으로 자유로운 사용

MariaDB는 GPL 라이선스를 따르기 때문에 누구나 무료로 사용하고 수정할 수 있어, 상업적 용도에도 제한이 없습니다.

3) 다양한 스토리지 엔진 지원

InnoDB 외에도 Aria, ColumnStore, MyRocks 등 목적에 맞는 스토리지 엔진을 선택해 사용할 수 있어 유연성이 뛰어납니다.

4) 빠른 성능과 경량화 구조

불필요한 기능을 줄이고 성능을 향상시킨 구조로, 빠른 데이터 처리와 낮은 리소스 소모를 자랑합니다.

5) 글로벌 기업의 후원과 활발한 커뮤니티

Amazon, Google, Intel 등 주요 기업들의 지원으로 지속적인 업데이트와 안정적인 유지보수가 가능하며, 커뮤니티도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습니다.

 

4. MariaDB의 단점

1) 기능 발전 속도의 한계

MySQL에서 독립된 이후 일부 최신 기능이나 기술 트렌드는 MySQL보다 늦게 적용되거나 완전한 호환이 어려운 경우도 있습니다.

2) 엔터프라이즈급 고급 기능은 다소 부족

Oracle DB나 MS SQL Server와 같은 상용 제품에 비해 고가용성, 자동화, 고급 분석 기능 등은 상대적으로 부족할 수 있습니다.

3) 기업 고객 중심의 공식 지원은 제한적

오픈소스 기반으로는 무료지만, 기업용 정식 기술 지원은 별도 계약이 필요하므로, 기술적 문제 발생 시 대응 체계가 부족할 수 있습니다.

 

5. MariaDB 도입이 적합한 경우

MariaDB는 비용을 절감하면서도 안정적인 데이터베이스 운영이 필요한 기업에게 적합한 솔루션입니다. 특히 MySQL 기반 시스템을 이미 운영 중인 곳에서는 MariaDB로의 전환이 수월하고, 큰 수정 없이 동일한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는 점이 큰 장점입니다.

스타트업, 중소기업, 오픈소스 프로젝트처럼 라이선스 비용 부담 없이 빠르게 시스템을 구축해야 하는 경우에 MariaDB는 매우 실용적인 선택입니다. 또한, 워드프레스, 마젠토, 위키미디어 등 주요 오픈소스 플랫폼과의 호환성도 높아, 웹사이트와 콘텐츠 관리 시스템에도 널리 사용됩니다.

또한, 다양한 스토리지 엔진이나 분산 데이터 환경을 고려하는 기술 지향적인 기업에게도 유리합니다. ColumnStore나 Spider 등 MariaDB에서만 제공하는 고유한 기능은 대용량 분석이나 분산 데이터 처리를 필요로 하는 환경에서 가성비 높은 대안을 제시합니다.

 

06. PostgreSQL – 유연성과 확장성의 끝판왕 오픈소스 DB

1. PostgreSQL이란 무엇인가

PostgreSQL(포스트그레스큐엘)은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오픈소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입니다. 1986년 미국 UC 버클리에서 시작된 POSTGRES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1996년에 공식적으로 PostgreSQL이라는 이름을 갖게 되었고, 지금까지 활발히 개발되고 있는 역사 깊은 데이터베이스입니다.

PostgreSQL은 단순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넘어서 JSON, XML, 벡터, 공간 데이터 등 다양한 데이터 형식을 지원하며, '객체-관계형 데이터베이스'로도 불립니다. 성능, 안정성, 확장성 측면에서 뛰어나 오픈소스이지만 상용 제품 못지않은 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에 중소기업부터 글로벌 기업, 심지어 정부기관과 클라우드 서비스까지 폭넓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2. PostgreSQL 아키텍처 개요

PostgreSQL은 기본적으로 클라이언트-서버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접속해 쿼리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의 요청은 PostgreSQL 서버 프로세스에서 처리되며, 데이터베이스 파일이 저장된 디스크와 상호작용하여 필요한 정보를 가져오거나 수정합니다.

PostgreSQL은 프로세스 기반 구조를 사용합니다. 즉, 접속한 사용자마다 별도의 프로세스를 생성해 병렬로 처리합니다. 이는 높은 안정성과 격리성을 보장하며, 한 사용자의 오류가 다른 사용자에게 영향을 주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또한, PostgreSQL은 다음과 같은 기능을 통해 높은 성능과 신뢰성을 제공합니다

- Write-Ahead Logging (WAL): 데이터 변경 전 로그를 먼저 기록해, 장애 발생 시에도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도록 돕는 기능입니다.

- MVCC (다중 버전 동시성 제어):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데이터를 읽고 쓸 수 있게 해주는 기술로, 데이터 충돌 없이 빠른 처리와 일관성을 보장합니다.

- 확장 가능한 모듈 구조: PostGIS(공간 데이터), TimescaleDB(시계열 데이터), pgvector(벡터 검색) 등 다양한 확장 기능을 쉽게 추가할 수 있습니다.

 

3. PostgreSQL의 장점

1) 강력한 표준 SQL 지원

PostgreSQL은 SQL 표준을 매우 충실히 따르며, 복잡한 쿼리 처리와 트랜잭션 기능이 뛰어납니다. 윈도우 함수, CTE, 서브쿼리 등 고급 기능도 기본 제공됩니다.

2) 유연한 데이터 형식 지원

JSON, XML, HSTORE, 벡터 데이터 등 비정형 데이터도 관계형 데이터처럼 쉽게 처리할 수 있어,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를 다루는 데 유리합니다.

3) 높은 안정성과 신뢰성

오랜 역사와 전 세계 커뮤니티의 활발한 유지보수 덕분에, PostgreSQL은 매우 안정적이며 예측 가능한 성능을 보여줍니다. WAL 기반의 복구 기능도 기본 탑재되어 있습니다.

4) 확장성과 오픈소스 자유

라이선스 비용이 없고, 자체적으로 기능을 확장하거나 플러그인을 설치해 원하는 기능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5) 강력한 벡터·AI 연동 가능성

최근에는 pgvector와 같은 확장 기능을 통해 AI·머신러닝과의 연동도 활발히 이뤄지고 있어, 최신 기술과도 잘 어울립니다.

 

4. PostgreSQL의 단점

1) 초기 설정과 학습 곡선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만큼, 처음 사용하는 사람들에게는 설정이나 튜닝이 다소 어렵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2) 전문 기술 인력 필요

고성능 환경이나 대규모 운영을 위해서는 PostgreSQL에 대한 이해와 경험이 있는 전문가의 운영이 필요합니다.

3) GUI 툴 부족

Oracle이나 MS SQL처럼 공식적으로 통합된 GUI 도구는 부족한 편이며, 대부분 오픈소스 툴을 따로 활용해야 합니다.

 

5. PostgreSQL 도입이 적합한 경우

PostgreSQL은 다음과 같은 환경에서 매우 적합합니다

중대형 웹서비스 백엔드: 빠른 쿼리 처리와 유연한 데이터 구조 덕분에 웹 애플리케이션의 핵심 DB로 많이 사용됩니다. 예: Django, Rails, Node.js 등과 궁합이 뛰어남.

정형/비정형 데이터가 섞여 있는 복합 시스템: JSON, 텍스트, 벡터 등 다양한 형식을 동시에 처리해야 할 경우 PostgreSQL의 장점이 극대화됩니다.

AI 기반 추천/검색 시스템: pgvector 같은 확장 기능을 활용해 AI 모델 결과값을 효율적으로 저장·검색할 수 있습니다.

라이선스 비용 부담 없이 고성능 DB를 원하는 기업: 오픈소스 기반이기 때문에 구축 비용을 절감하면서도, 안정성과 확장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정부, 공공기관, 학계 프로젝트: 오픈소스, 투명성, 보안성 측면에서 PostgreSQL은 기관·연구용 프로젝트에 적합합니다.

 

 

07. MongoDB – 스키마 없는 NoSQL의 대표 주자

1. MongoDB란 무엇인가

MongoDB(몽고디비)는 2009년, 미국의 MongoDB Inc.에서 처음 출시된 NoSQL 기반의 문서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입니다. 기존의 전통적인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DBMS)가 행(Row)과 열(Column)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테이블 구조를 사용하는 것과 달리, MongoDB는 JSON 형식과 유사한 문서(Document) 단위로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처음에는 빠르게 변화하는 스타트업 환경이나 웹 서비스에서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는 대안으로 인기를 끌었지만, 지금은 Netflix, eBay, Adobe, Forbes 등 다양한 글로벌 기업에서도 MongoDB를 사용하고 있으며, 특히 대용량 데이터를 유연하게 처리하거나 빠르게 변화하는 데이터 구조에 강한 모습을 보여줍니다. MongoDB는 현재 MongoDB Atlas라는 이름의 공식 클라우드 서비스도 제공하며, 관리형 인프라로 손쉽게 배포하고 운영할 수 있다는 점도 많은 개발자와 기업들에게 매력적입니다.

 

2. MongoDB 아키텍처 개요

MongoDB의 핵심 구조는 비교적 단순하면서도 유연합니다. 전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주요 요소로 구성됩니다:

문서(Document): MongoDB에서 데이터는 JSON과 유사한 BSON(Binary JSON) 형식으로 저장됩니다. 하나의 문서는 하나의 객체처럼 동작하며, 예를 들어 고객 정보, 상품 정보 같은 다양한 구조를 자유롭게 담을 수 있습니다. 이 문서 안에는 배열, 중첩 객체 같은 복잡한 데이터도 포함될 수 있습니다.

컬렉션(Collection): 문서들이 모여 있는 단위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과 비슷한 개념입니다. 하지만 문서마다 구조가 달라도 저장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훨씬 유연합니다.

Replica Set (복제 세트): MongoDB는 기본적으로 고가용성을 지원합니다. 데이터를 여러 서버에 복제하여 하나의 서버에 문제가 생기면 자동으로 다른 서버가 역할을 이어받아 서비스가 중단되지 않도록 합니다.

Sharding (샤딩): 데이터가 매우 많아질 경우 하나의 서버만으로는 처리하기 어렵습니다. 이때 MongoDB는 데이터를 여러 서버에 분산시켜 저장하고 처리하도록 지원하는데, 이를 샤딩이라고 합니다. 덕분에 수평 확장이 매우 용이합니다.

몽고드(Mongod)와 몽고스(Mongos): mongod는 실제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하는 기본 프로세스이고, mongos는 클러스터 내의 라우터 역할로, 클라이언트 요청을 적절한 서버로 분산시켜 줍니다.

MongoDB의 이러한 구조는 대용량 데이터를 빠르고 안정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복잡한 테이블 관계를 설정하지 않아도 되어 개발 속도도 매우 빠릅니다.

 

3. MongoDB의 장점

1) 유연한 스키마 구조

MongoDB는 데이터를 저장할 때 미리 테이블 구조를 정의할 필요가 없습니다. 이는 빠르게 변경되는 요구사항에 대응하거나 데이터 구조가 고정되지 않은 애플리케이션에서 매우 유리합니다.

2) 빠른 개발 속도

데이터가 JSON 형태이기 때문에 프론트엔드 개발자나 백엔드 개발자 모두 익숙한 포맷으로 데이터를 다룰 수 있으며, 설계와 프로토타입 구현이 빠릅니다.

3) 수평 확장성 (Sharding)

서버를 여러 대로 나누어 데이터를 분산시켜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어, 데이터가 늘어나도 성능 저하 없이 운영이 가능합니다. 이는 관계형 DB보다 훨씬 유연한 확장성을 의미합니다.

4) 고가용성 구조 (Replica Set)

서버 중 하나가 장애가 나더라도 자동으로 복제본이 활성화되어 서비스가 끊기지 않도록 보장합니다. 추가적인 설정 없이도 기본적인 복제 기능을 쉽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5) 다양한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지원

MongoDB Atlas라는 공식 서비스 덕분에, AWS, Azure, GCP 등의 클라우드에서 손쉽게 구축하고 확장할 수 있습니다. 보안, 백업, 모니터링 같은 기능도 함께 제공되어 편리합니다.

 

4. MongoDB의 단점

1) 복잡한 트랜잭션 제어가 어려움

MongoDB는 여러 문서를 동시에 안정적으로 업데이트해야 하는 복잡한 트랜잭션 처리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최근에는 다중 문서 트랜잭션을 지원하지만, 관계형 DB에 비해서는 여전히 제약이 있습니다.

2) JOIN 기능의 부재 또는 제약

SQL에서 사용하는 JOIN 연산이 기본적으로 지원되지 않거나 제한적으로만 사용할 수 있어, 서로 관련된 데이터를 자주 조합해서 보여줘야 하는 시스템에는 불편할 수 있습니다.

3) 정확한 데이터 일관성 유지가 어렵다

복제 및 샤딩 구조로 인해 데이터 동기화나 일관성 유지가 쉽지 않을 수 있으며, 강력한 정합성이 요구되는 환경에서는 별도의 아키텍처 설계가 필요합니다.

4) 메모리 사용량이 상대적으로 큼

유연한 구조와 고속 처리 덕분에 메모리와 디스크 사용량이 늘어날 수 있으며, 불필요한 중복 저장이 발생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5. MongoDB 도입이 적합한 경우

MongoDB는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도입을 고려하기에 적합한 DBMS입니다:

스타트업, MVP 개발 등 빠른 개발 주기가 필요한 환경

기획이 자주 바뀌고 빠르게 결과물을 만들어야 할 때, MongoDB의 유연한 스키마 구조는 큰 장점이 됩니다.

비정형 데이터가 많은 서비스

댓글, 사용자 행동 기록, SNS 데이터, 센서 데이터 등 구조가 고정되지 않은 데이터를 저장할 때 MongoDB가 적합합니다.

웹, 모바일, IoT 서비스 등 실시간 데이터 처리가 중요한 환경

빠른 쓰기/읽기 처리와 수평 확장을 통해 성능 저하 없이 실시간 처리가 가능하므로, 반응 속도가 중요한 서비스에 어울립니다.

클라우드 중심의 애플리케이션

MongoDB Atlas를 활용하면 데이터베이스 관리에 신경 쓰지 않고, 운영 및 보안, 백업까지 자동화된 환경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대규모 트래픽 분산이 필요한 시스템

많은 사용자가 동시에 데이터를 조회하고 저장하는 대규모 서비스에서도 MongoDB는 안정적인 구조를 제공합니다.

 

 

08. Redis – 초고속 인메모리 데이터 저장소

1. Redis란 무엇인가

Redis(레디스)는 2009년, 이탈리아의 개발자인 살바토레 산필리포(Salvatore Sanfilippo)가 처음 개발한 오픈소스 인메모리 키-값 저장소(Key-Value Store)입니다. 일반적인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DBMS)나 문서형 DB처럼 디스크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조회하는 구조가 아니라, 모든 데이터를 메모리(RAM)에 저장하기 때문에 매우 빠른 속도를 자랑합니다.

처음에는 캐시(Cache) 용도로 많이 사용되었지만, 현재는 실시간 로그 분석, 세션 저장, 채팅 시스템, 순위 집계 등 다양한 실시간 애플리케이션에서 핵심 데이터 저장소로도 활용되고 있습니다. Amazon, Twitter, Github, StackOverflow 같은 글로벌 서비스에서도 Redis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AWS ElastiCache나 Azure Cache for Redis 같은 클라우드 서비스로도 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2. Redis 아키텍처 개요

Redis는 기본적으로 매우 단순하면서도 강력한 구조를 갖고 있습니다.

Key-Value 구조

Redis는 데이터를 키(Key)와 값(Value)의 쌍으로 저장합니다. 단순한 문자열 뿐 아니라, 리스트, 해시(Hash), 집합(Set), 정렬된 집합(Sorted Set) 등 다양한 데이터 타입을 지원합니다. 이로 인해 단순한 캐시 외에도 순위 시스템, 메시지 큐 등 복잡한 기능도 구현할 수 있습니다.

인메모리 기반

모든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처리하기 때문에, 디스크에 저장되는 전통적인 DB보다 훨씬 빠른 속도를 보입니다. 단, 메모리 용량이 곧 저장 용량이라는 점은 고려해야 합니다.

단일 스레드 이벤트 루프 구조

Redis는 하나의 스레드로 모든 요청을 처리하지만, I/O 이벤트 처리 방식이 매우 효율적이기 때문에 많은 요청을 빠르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지속성(Persistence)

비록 인메모리 DB지만, 데이터를 디스크에 저장하는 기능도 제공합니다. RDB 스냅샷 저장 또는 AOF(Append Only File) 방식으로 백업이 가능하며, 재시작 시 복원할 수 있습니다.

복제와 클러스터링

Redis는 Master-Slave 구조를 이용해 데이터를 복제할 수 있으며, Redis Cluster 기능을 통해 수평 확장도 가능합니다. 이를 통해 고가용성과 분산 처리도 지원합니다.

 

3. Redis의 장점

1) 압도적으로 빠른 속도

모든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기 때문에 읽기/쓰기 속도가 매우 빠릅니다. 실시간 처리 요구가 높은 환경에서 Redis는 최적의 선택입니다.

2) 다양한 데이터 구조 지원

단순한 문자열뿐 아니라 리스트, 해시, 집합 등 다양한 구조를 지원해, 실제 시스템 설계에 유연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3) 간단한 사용성과 높은 생산성

간결한 명령어 기반 인터페이스와 다양한 언어 지원(파이썬, 자바, 노드 등) 덕분에 개발자가 쉽게 접근하고 빠르게 개발할 수 있습니다.

4) 고가용성 및 클러스터 기능

복제, Sentinel, Cluster 기능을 통해 장애 대응, 데이터 분산, 확장이 용이합니다.

5) 캐시 외의 다양한 활용 가능성

실시간 랭킹 시스템, 채팅 메시지 저장, 세션 관리, 작업 큐 등에도 활용할 수 있어 범용성이 높습니다.

 

4. Redis의 단점

1) 메모리 기반 특성으로 인한 용량 한계

RAM에 데이터를 저장하기 때문에, 저장 가능한 데이터의 양은 메모리 용량에 제한됩니다. 대용량 데이터를 저장하려면 비용이 크게 증가할 수 있습니다.

2) 복잡한 관계형 쿼리 미지원

SQL이나 JOIN 같은 복잡한 질의는 불가능하며, 데이터 간의 연결 관계가 많은 시스템에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3) 데이터 정합성 제약

트랜잭션 기능이 일부 존재하지만, 관계형 DB처럼 강력한 정합성 보장은 어렵습니다. 중요한 금융 시스템 등에는 주의가 필요합니다.

4) 지속성 설정 관리 필요

기본적으로 인메모리 구조이기 때문에, 데이터 유실 방지를 위한 지속성 옵션(AOF, RDB)을 적절히 구성해야 합니다.

 

5. Redis 도입이 적합한 경우

Redis는 다음과 같은 환경에서 특히 효과적입니다

실시간 데이터 처리가 중요한 서비스

예: 실시간 채팅, 알림, 게임 서버, 위치 추적, 센서 데이터 처리 등

웹 애플리케이션의 캐시 계층

자주 조회되는 데이터를 Redis에 캐시해, 데이터베이스 부하를 줄이고 응답 속도를 높이는 데 효과적입니다.

로그인 세션, 인증 토큰 저장

빠른 속도가 요구되고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데이터에 매우 적합합니다.

작업 큐 / 메시지 큐 시스템

비동기 처리나 순차적인 작업 처리가 필요한 곳에서도 Redis의 리스트 구조를 활용한 큐 구현이 활발합니다.

실시간 순위/통계 시스템

정렬된 집합(Sorted Set)을 활용하면 실시간 랭킹을 손쉽게 구축할 수 있습니다.

정리하면, Redis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와는 전혀 다른 성격을 가진 초고속 메모리 기반 DBMS입니다.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지만, 종종 MySQL, MongoDB, PostgreSQL 같은 메인 데이터베이스와 함께 보조 시스템 혹은 캐시 시스템으로 병행 사용되기도 합니다. 실시간 처리 속도가 가장 중요한 요소일 때 Redis는 매우 강력한 선택지가 될 수 있습니다.

 

09. SQLite – 가볍고 편리한 로컬 데이터베이스

1. SQLite란 무엇인가

SQLite(에스큐엘라이트)는 이름 그대로 “가볍고(Small) 단순한(SQL-based)”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입니다. 2000년 미국의 리처드 히폴(Richard Hipp)에 의해 개발되었고, 현재는 수많은 애플리케이션과 모바일 앱, 임베디드 시스템 등에 기본적으로 내장되어 사용되고 있습니다.

가장 큰 특징은 서버 없이도 작동하는 임베디드(Embedded) 방식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라는 점입니다. 복잡한 설치나 별도의 서버 프로세스 없이, 하나의 파일만으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게다가 공공 도메인으로 배포되어 라이선스 비용이 전혀 없는 완전한 오픈소스라는 점도 SQLite의 인기 요인 중 하나입니다.

 

2. SQLite 아키텍처 개요

SQLite는 다른 대형 DBMS들과 달리 매우 단순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파일 기반 구조

SQLite는 하나의 .db 파일에 모든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이 파일은 운영체제의 일반 파일처럼 동작하며, 외부 서버가 필요 없습니다. 따라서 SQLite를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 안에 바로 포함시켜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서버 없이 작동하는 라이브러리형 DBMS

다른 DBMS처럼 DB 서버를 설치하고 연결하는 방식이 아니라, 응용 프로그램이 SQLite 라이브러리를 내장하고 직접 DB 파일을 열고 읽고 쓰는 구조입니다. 이 때문에 모바일 앱, 브라우저, IoT 기기 등 작은 환경에서도 잘 작동합니다.

트랜잭션과 ACID 보장

SQLite는 가볍지만 여전히 데이터 무결성을 중요시합니다. 트랜잭션 기능과 함께 ACID(원자성, 일관성, 독립성, 지속성)를 모두 지원하므로 신뢰성 있는 데이터 처리도 가능합니다.

단일 연결 환경

다중 사용자와 동시 접속을 염두에 둔 시스템은 아니기 때문에, 동시에 여러 사용자가 쓰기 작업을 요청하면 성능 저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3. SQLite의 장점

1) 설치 없이 바로 사용 가능

별도의 DB 서버 없이, 하나의 실행 파일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DB 기능을 바로 넣을 수 있어 매우 간편합니다.

2) 작은 용량, 빠른 속도

매우 가볍고 빠르며, 특히 소규모 데이터를 빠르게 다루는 데 적합합니다.

3) 완전 무료 오픈소스

라이선스 제약이 없는 Public Domain으로 제공되기 때문에 상업적 용도에도 자유롭게 사용 가능합니다.

4) 표준 SQL 지원

표준 SQL 구문 대부분을 지원하므로, 다른 SQL 기반 DBMS와 호환성이 좋습니다.

5) 플랫폼 간 이성 우수

안드로이드, iOS, 윈도우, 리눅스 등 거의 모든 플랫폼에서 동일하게 작동합니다.

 

4. SQLite의 단점

1) 동시성 처리 제한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거나 쓰기 작업을 하면 성능이 크게 떨어질 수 있습니다. 대규모 서비스에는 부적합합니다.

2) 서버 기능 없음

사용자 인증, 복제, 백업 스케줄, 클러스터링 같은 서버형 DB의 고급 기능은 제공하지 않습니다.

3) 메모리·디스크 최적화 제한

자동 성능 튜닝 기능이 부족하므로, 데이터가 많아지면 수동 최적화가 필요합니다.

4) 보안 기능 부족

기본 암호화나 권한 제어 기능이 없기 때문에 보안이 중요한 환경에서는 주의가 필요합니다.

 

5. SQLite 도입이 적합한 경우

SQLite는 다음과 같은 환경에서 매우 효과적으로 활용됩니다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안드로이드와 iOS 대부분의 앱에서 내부 데이터 저장소로 SQLite를 사용합니다. 예: 메모 앱, 일정 앱, 오프라인 데이터 저장

데스크탑 프로그램

메모장, 가계부, 개인 프로젝트 관리 툴 등 로컬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에서 경량 데이터베이스로 적합합니다.

임베디드 장치

IoT 기기, 스마트TV, 라우터 등에서 경량 DB 기능을 구현할 때 SQLite가 많이 활용됩니다.

테스트용 데이터베이스

복잡한 설치 없이 빠르게 개발하고 테스트할 수 있어, 프로토타입 단계나 학습 용도로 자주 사용됩니다.

웹 브라우저 내 DB 저장소

웹 앱에서도 IndexedDB나 WebSQL 방식으로 SQLite 기반 기술이 쓰이기도 합니다.

요약하면, SQLite는 서버를 구축하거나 복잡한 DBMS를 운영할 필요 없는 ‘초경량 SQL 데이터베이스’입니다. 데이터가 비교적 적고, 사용자 수가 적으며, 성능보다는 단순성과 이식성이 중요한 환경에서는 최고의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반면 대규모 웹 서비스, 복잡한 트랜잭션이 많은 시스템에는 적합하지 않으므로, 용도에 맞게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0. Altibase – 국산 인메모리 DBMS의 자존심

1. Altibase란 무엇인가

Altibase(알티베이스)는 대한민국에서 개발된 고성능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입니다. 1999년 처음 출시되었으며, 국내에서 자체 개발된 DBMS 중 세계 시장에 진출한 몇 안 되는 제품 중 하나입니다. 특히 메모리 기반의 초고속 처리 능력을 특징으로 하며, 초기에는 인메모리 DBMS로 출발했지만, 이후 디스크 기반까지 함께 지원하는 하이브리드 구조를 갖추게 되었습니다.

Altibase는 금융, 통신, 공공기관 등 대량의 데이터를 빠르게 처리해야 하는 산업에서 높은 성능과 안정성으로 주목받았으며, 현재는 국내 대기업 및 정부기관을 포함해 전 세계 700개 이상 고객사에서 사용 중입니다. 2018년부터는 오픈소스로 전환되며 더 넓은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2. Altibase 아키텍처 개요

Altibase의 가장 큰 특징은 하이브리드 DBMS 구조입니다. 이는 인메모리 방식과 디스크 기반 방식의 장점을 동시에 활용할 수 있게 한 구조입니다.

인메모리 스토리지 (Memory Database)

데이터를 메모리에 올려놓고 처리하는 구조로, 디스크 접근 없이 초고속으로 데이터를 읽고 쓸 수 있습니다. 트랜잭션 처리나 실시간 데이터 처리에 매우 유리합니다.

디스크 스토리지 (Disk Database)

기존의 RDBMS처럼 데이터를 디스크에 저장해 영구적으로 보존할 수 있습니다. 대용량 데이터를 저장할 때는 디스크 기반이 적합하며, 메모리 자원의 부담도 줄일 수 있습니다.

통합 엔진

Altibase는 메모리와 디스크를 나누지 않고 하나의 DBMS에서 통합적으로 관리합니다. 개발자는 특별히 신경 쓰지 않아도 두 스토리지를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ACID 및 SQL 표준 준수

트랜잭션의 안정성을 위한 ACID 원칙(원자성, 일관성, 독립성, 지속성)을 지키며, 표준 SQL을 지원해 다른 관계형 DBMS와도 사용법이 유사합니다.

 

3. Altibase의 장점

1) 하이브리드 아키텍처

메모리 기반의 속도와 디스크 기반의 저장 안정성을 동시에 활용할 수 있어, 빠른 처리와 장기 보존이 모두 필요한 시스템에 적합합니다.

2) 고속 트랜잭션 처리 성능

초당 수십만 건 이상의 트랜잭션을 처리할 수 있어, 통신 과금 시스템이나 실시간 분석 서비스 등에 유리합니다.

3) 국산 DBMS로서의 신뢰성

국내 기술로 개발되어 기술지원과 문서, 커스터마이징이 용이하며, 국가 보안 정책과 산업별 특수 요구 사항에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

4) 오픈소스 기반으로의 전환

비용 부담을 줄일 수 있으며, 커뮤니티를 통해 지속적인 개선과 기능 확장이 가능합니다.

 

4. Altibase의 단점

1) 글로벌 인지도 부족

국내에서는 많이 사용되지만, 해외에서는 Oracle이나 PostgreSQL 등에 비해 인지도가 낮아 글로벌 협업이나 레퍼런스 확보에 제약이 있을 수 있습니다.

2) 복잡한 시스템 구성

하이브리드 구조는 유연하지만, 설정이나 튜닝이 복잡할 수 있고 전문 엔지니어의 운용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3) 도구 생태계 제약

Oracle이나 PostgreSQL처럼 방대한 관리 도구나 플러그인 생태계가 부족해, 일부 관리 편의성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5. Altibase 도입이 적합한 경우

Altibase는 다음과 같은 환경에서 특히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실시간 데이터 처리 시스템

수많은 트랜잭션이 동시에 발생하는 통신사의 과금 시스템,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금융 거래 처리 등 빠른 응답이 중요한 분야

국산 DBMS 선호 환경

공공기관, 국방, 에너지 등 국가 보안과 국산화 전략이 중요한 조직에서는 Altibase의 국산 기술 기반이 큰 강점이 됩니다.

비용 효율적인 고성능 시스템

오라클 같은 상용 DBMS 대비 합리적인 비용으로 고성능을 확보하고자 할 때, 특히 오픈소스 버전을 활용하면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기존 국산 DB에서의 마이그레이션 고려 시

Tibero, Cubrid 등 국산 DBMS에서 전환하거나 통합할 때도 호환성과 기술 지원이 뛰어나기 때문에 부담이 적습니다.

요약하자면, Altibase는 빠른 처리 속도와 신뢰성을 모두 만족시켜야 하는 실시간 시스템에 적합한 고성능 하이브리드 DBMS입니다. 국내 환경과 규제에 최적화되어 있으며, 국산 솔루션을 선호하거나 비용 대비 성능을 중요하게 여기는 기업에게 좋은 선택지가 될 수 있습니다. 다만, 글로벌 확장성과 도구 생태계 측면에서는 한계가 있을 수 있으므로, 사용 목적에 맞춰 전략적으로 도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1. CUBRID – 웹 서비스에 최적화된 오픈소스 국산 DB

 1. CUBRID란 무엇인가?

CUBRID(큐브리드)는 대한민국에서 개발된 오픈소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입니다. 2008년 NHN(현 네이버)에서 처음 오픈소스로 공개되었으며, 이후 큐브리드(주)가 개발과 관리를 맡아 꾸준히 업그레이드를 이어오고 있습니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란 우리가 흔히 엑셀처럼 행과 열로 정리된 표 형식의 데이터를 다루는 데이터베이스를 말하는데, CUBRID는 이 방식을 기반으로 하면서도 빠른 성능과 편리한 개발 환경을 제공합니다.

특히 웹 애플리케이션에 최적화된 구조를 가지고 있어, 공공기관이나 웹 기반 시스템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100% 오픈소스 DBMS라는 점에서 도입 비용이 없는 것이 큰 장점입니다.

 

2. CUBRID 아키텍처 개요

CUBRID는 크게 다음 세 가지 구성 요소로 나뉘어 동작합니다:

데이터베이스 서버 (DB 서버)

사용자가 저장하거나 조회하려는 데이터를 실제로 저장하고 처리하는 역할을 합니다. SQL 명령을 분석하고 실행하며, 데이터를 읽고 쓰는 핵심 기능을 수행합니다.

브로커(Broker)

클라이언트(사용자 요청)와 DB 서버 사이를 중계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브로커는 요청을 효율적으로 분배하고, 여러 사용자의 동시 접속을 처리합니다. 즉, 서버가 한꺼번에 몰리지 않도록 조율해주는 중간 관리자라고 보면 됩니다.

클라이언트 응용 프로그램

사용자가 웹사이트나 앱에서 데이터를 조회하거나 입력하면 이 요청이 브로커를 거쳐 서버로 전달되고, 결과가 다시 사용자에게 돌아옵니다.

이 구조는 사용자 수가 많아지더라도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설계된 분산형 구조이며, 다중 브로커와 병렬 처리를 통해 성능을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3. CUBRID의 장점

1) 100% 오픈소스 및 국산 DBMS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 가능하며, 유지보수 비용이 없고, 국내 기술 기반으로 개발되어 한글 문서와 기술지원이 수월합니다.

2) 웹 애플리케이션에 최적화된 구조

PHP, Java, Python 등 웹 개발에 많이 사용되는 언어와의 연동이 편리하고, 대규모 웹 트래픽을 안정적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3) 다중 브로커 구조로 높은 성능 확보

브로커를 병렬로 운영할 수 있어, 사용자 수가 많아도 빠르게 요청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4) SQL 표준 지원

표준 SQL을 사용하므로 다른 관계형 DBMS와 비슷한 방식으로 데이터를 다룰 수 있어, 기존 시스템과의 호환성도 좋습니다.

5) 경량 구조와 설치 용이성

가볍고 빠르게 설치할 수 있으며, 운영도 간단한 편이라 중소기업이나 스타트업에서도 부담 없이 도입할 수 있습니다.

 

4. CUBRID의 단점

1) 복잡한 기능은 제한적

데이터 웨어하우징, 대규모 OLAP 분석 등 복잡한 데이터 분석 기능은 Oracle이나 PostgreSQL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할 수 있습니다.

2) 글로벌 레퍼런스 부족

국내에서는 많이 사용되지만 해외 기업 사례나 국제 커뮤니티의 규모는 작아, 글로벌 확장성 면에서는 제한이 있습니다.

3) 에코시스템과 도구의 제한

관리 도구, 플러그인, 개발 지원 도구 측면에서는 Oracle이나 MySQL 등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선택의 폭이 좁습니다.

 

5. CUBRID 도입이 적합한 경우

CUBRID는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특히 적합한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웹 서비스 중심의 시스템

웹 기반 서비스, 포털, 쇼핑몰, 커뮤니티 등 다수의 동시 접속이 발생하는 환경에서 CUBRID는 브로커 구조를 통해 안정적인 성능을 제공합니다.

공공기관 및 국산 DB 선호 환경

정부 및 공공기관 프로젝트, 혹은 국산 DBMS를 선호하는 조직에서는 높은 호환성과 안정성을 갖춘 큐브리드가 좋은 선택입니다.

비용 효율을 중시하는 중소기업 및 스타트업

상용 DBMS 대비 라이선스 비용이 없어 예산이 한정된 기업에게 부담이 적고, 기술 습득도 비교적 쉬운 편입니다.

기본적인 트랜잭션 처리와 웹 연동이 핵심인 서비스

복잡한 분석보다는 실시간 트랜잭션과 웹 연동이 중요시되는 프로젝트에서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습니다.

요약하자면, CUBRID는 가볍고 빠르면서도 웹 환경에 잘 맞는 국산 오픈소스 DBMS입니다. 오픈소스의 자유로운 도입, 브로커 기반의 성능 구조, 친숙한 SQL 사용 방식이 특징이며, 특히 웹 중심 서비스나 공공기관 시스템에 적합합니다. 다만, 복잡한 데이터 분석 기능이나 글로벌 커뮤니티는 아직 제한적이므로, 목적에 맞는 용도로 전략적으로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12. Tibero – Oracle 대체제로 떠오른 국산 상용 DBMS

1. Tibero란 무엇인가?

Tibero(티베로)는 대한민국의 티맥스소프트(TmaxSoft)에서 개발한 상용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입니다. 2003년부터 본격적으로 개발되어 출시되었으며, 오라클 데이터베이스와 호환성이 높은 국산 DBMS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특히 Oracle 의존도가 높은 국내 기업과 기관을 대상으로 합리적인 비용과 국산 기술 기반을 강점으로 삼아 시장 점유율을 확대해 왔습니다.

Tibero는 기존 오라클 사용자들이 무리 없이 이전할 수 있도록 SQL, PL/SQL, 데이터 사전(Data Dictionary) 구조까지 유사하게 설계되었으며, 오라클의 라이선스 정책에 부담을 느끼는 기업들에게 비용 효율적인 대안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금융, 공공기관, 제조업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실제 도입 사례가 늘고 있는 추세입니다.

 

2. Tibero 아키텍처 개요

Tibero의 내부 구조는 전통적인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아키텍처를 따르되, 고성능과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몇 가지 특화된 설계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인스턴스(Instance): DB를 작동시키는 프로그램과 메모리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인스턴스는 사용자 요청을 처리하고 데이터를 읽고 쓰는 핵심 역할을 합니다.

데이터베이스(Database): 실제 데이터가 저장된 공간으로, 데이터 파일, 로그 파일, 제어 파일 등이 포함됩니다. 하드디스크에 저장되며, 모든 정보의 근거지가 됩니다.

TAC (Tibero Active Cluster): 오라클의 RAC와 유사한 고가용성 클러스터 기능입니다. 여러 서버 인스턴스가 하나의 데이터베이스를 동시에 공유하며 장애에 강한 구조를 제공합니다.

TSE (Tibero Standalone Engine): 메모리 기반의 성능 향상 요소로, 개발/테스트 용도로도 경량화된 엔진을 제공합니다.

이러한 구조 덕분에 Tibero는 고가용성, 빠른 트랜잭션 처리, 대규모 사용자 지원 등 엔터프라이즈 환경에 적합한 성능을 발휘합니다.

 

3. Tibero의 장점

1) 오라클과 높은 호환성

SQL 문법과 저장 프로시저, 데이터 구조까지 Oracle과 유사하여 오라클 기반 시스템을 비교적 쉽게 Tibero로 이전할 수 있습니다.

2) 합리적인 라이선스 비용

상용 DBMS지만 오라클 대비 도입 및 유지비용이 낮아, 비용 부담을 줄이면서도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3) 국산 기술 기반과 기술지원

국내 개발진이 직접 기술 지원을 제공하며, 한글 기반 문서와 컨설팅이 풍부해 도입 및 운영이 수월합니다.

4) 고성능 클러스터링 기능 (TAC)

장애에 강하고 확장성이 뛰어난 클러스터 환경을 구현할 수 있어, 대규모 시스템에서도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습니다.

5) 국내 주요 레퍼런스 다수

행정안전부, 금융감독원, KT, LG CNS 등 다양한 기업과 공공기관에서 실제로 사용 중이며 신뢰성이 입증된 DBMS입니다.

 

4. Tibero의 단점

1) 오라클 완전 대체는 어려울 수 있음

대부분 호환되지만 특정 고급 기능이나 대규모 글로벌 환경에서는 Oracle만의 기능이 필요할 수 있어 완전한 대체에는 일부 제약이 따릅니다.

2) 해외 커뮤니티 부족

국산 솔루션이다 보니 영어 기반의 국제 기술 자료나 글로벌 포럼이 부족해, 해외 확장성 면에서는 제한이 있습니다.

3) 제3자 도구와의 호환성

일부 오픈소스나 외부 시스템과의 연동에서 Oracle에 비해 호환성이 다소 떨어질 수 있습니다.

 

5. Tibero 도입이 적합한 경우

Tibero는 다음과 같은 환경에서 특히 유리합니다:

오라클 사용 중 비용 절감이 필요한 기업

기존 Oracle 시스템을 유지하면서도 라이선스 비용을 줄이고 싶은 경우, Tibero는 고성능과 호환성을 동시에 제공합니다.

보안 및 안정성이 중요한 금융/공공기관

공공데이터베이스 국산화 정책이나 높은 보안 수준이 필요한 환경에서 Tibero는 실제 도입 사례와 기술 지원이 풍부합니다.

기존 Oracle 인력을 그대로 활용하고 싶은 경우

Oracle과 유사한 구조 덕분에 기존 개발자나 운영 인력이 큰 학습 비용 없이 전환할 수 있습니다.

대규모 트랜잭션이 빈번한 업무 시스템

TAC를 통한 고가용성 구성, 병렬 처리 기능 등은 은행, 통신, 유통 등의 실시간 처리 시스템에 적합합니다.

정리하자면, Tibero는 국산 기술력과 오라클 호환성을 바탕으로 안정성과 비용 효율을 모두 갖춘 상용 DBMS입니다. 특히 오라클을 사용하던 기업이 더 이상 높은 라이선스 비용을 감당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합리적인 대안이 될 수 있으며, 국내 기술 지원을 중시하거나 국산화를 추진하는 조직에도 적합한 선택입니다.

 

결론 

우리가 살펴본 주요 DBMS—Oracle, PostgreSQL, MongoDB, Redis, SQLite, Altibase, CUBRID, Tibero—은 각각의 강점과 단점을 갖고 있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한 시스템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DB-Engines 기준 2025년 6월 인기 순위를 보면, Oracle이 여전히 1위, MySQL이 2위, Microsoft SQL Server가 3위, PostgreSQL 4위, MongoDB 5위, Redis 6위에 위치하며, 그 뒤로 SQLite, MariaDB, Db2 등이 잇고 있습니다

특히, PostgreSQL은 최근 몇 년간 꾸준히 성장해 4위까지 올라섰으며, MongoDB와 Redis도 NoSQL과 인메모리 캐시 수요 증가 덕분에 상위권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 수치는 단순한 인기 지표에 그치지 않고, 실제 기업 환경에서의 활용도와 트렌드를 반영합니다. 예컨대 Oracle, Tibero, Altibase 등은 고가용성과 트랜잭션 안정성이 중요한 금융·공공·통신사 등에 적합합니다. 오라클 호환성과 비용 효율성을 고려한 Tibero, 메모리 기반의 실시간 처리가 강점인 Altibase, 국산 오픈소스를 기반으로 한 CUBRID는 각각의 특성에 맞춰 선택될 수 있습니다.

반면, PostgreSQL과 SQLite는 오픈소스 기반으로 소규모에서 중대형 애플리케이션까지 폭넓게 활용되며, PostgreSQL은 JSON, 벡터, 복잡한 쿼리 지원으로 급성장 중입니다. MongoDB와 Redis는 유연한 데이터 모델과 실시간/인메모리 처리에 강점을 보이며, 스타트업 및 빠르게 변화하는 웹·클라우드 환경에서 두각을 나타냅니다.

결론적으로, DBMS를 도입할 때는 트랜잭션 규모, 데이터 구조, 실시간 처리 요구, 비용, 기존 시스템 연계 여부, 기술 지원 환경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 안정성과 확장성, 규제 준수가 중요하면 Oracle, Tibero, Altibase 등 엔터프라이즈급 솔루션이 유리합니다.

 - 오픈소스 기반으로 유연성과 비용 효율을 추구한다면 PostgreSQL과 SQLite가 적합하며,

 - NoSQL과 인메모리 데이터 처리가 핵심이라면 MongoDB와 Redis가 최선의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이처럼 각 DBMS는 각기 다른 환경과 목적에 따라 강점을 발휘합니다. 이 글이 여러분의 업무에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